반응형






string strText = "가나다라-마바사--아자차"


strText = strText.Replace("-", "") 


MessageBox.Show(strText);



strText값은 "가나다라마바사아자차" 가 나온다.

반응형
반응형






웹에서 Encoding된 base64


string resultGet = rederGet.ReadToEnd();



byte[] byte64 = Convert.FromBase64String(resultGet);

string s1 = Encoding.UTF8.GetString(byte64);

MessageBox.Show(s1);


나는 UTF8로 한글 Encoding된 문자열이라서 Encoding.UTF8로 했는데 다른방식으로 했다면

Encoding치고 온점(.)찍고 나오는 것들중에 방식으로 골라서 하면 됨.


웹에 있는것들보다 짱간편



//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


string aaa = "test를 위한 문자열";


//Encoding

byte[] basebyte = System.Text.Encoding.UTF8.GetBytes(aaa);

string s64 = Convert.ToBase64String(basebyte);

MessageBox.Show(s64);


//Decoding

byte[] bytetest = Convert.FromBase64String(s64);

s1 = Encoding.UTF8.GetString(bytetest);

MessageBox.Show(s1);.


//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

반응형
반응형






상단 메뉴바에서

도구 ->  사용자지정 -> 도구모음


디버그 , 텍스트 편집기 선택 -> 닫기

반응형

'Programming > C#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C# 특정문자열 삭제  (0) 2017.09.11
C# Base64를 간단하게 Decoding하기  (0) 2017.09.11
C# 글씨체, 크기, 색상 변경  (0) 2017.09.08
C# 구조체 만들기(struct)  (0) 2017.09.06
C# listview에서 ScrollBar 생성 (보이도록)  (0) 2017.09.06
반응형







글씨체, 크기 변경


작업표시줄의 도구(T) -> 옵션(O) _> 환경 -> 글꼴 및 색 -> 설정 표시(T)에서 텍스트 편집기




색상 변경


하나하나 설정하려면 귀찮으니까 다른사람들이 공유하는 설정을 다운받는다.

http://studiostyl.es/


마음에 드는 설정 다운로드



visual studio로 돌아와서


도구(T) -> 설정 가져오기 및 내보내기(I) -> 선택한 환경 설정 가져오기(I) -> 아니요, 새 설정을 가져와 현재 설정을 덮어씁니다(O). -> 찾아보기 -> 파일선택 -> 다음 -> 닫기



끝^~^

반응형
반응형






구조체 생성 예시



        public struct USERINFO

        {

            public string USER_ID;

            public string USER_NM;


            public USERINFO(string USER_ID, string USER_NM)

            {

                this.USER_ID = USER_ID;

                this.USER_NM = USER_NM;

            }

        }


        




사용예시1



            USERINFO userinfo1 = new USERINFO("id1","nm1");


string testid = userinfo1.USER_ID;





사용예시2


            USERINFO userinfo2;

            userinfo2.USER_ID = "id2";



string testid = userinfo2.USER_ID;





반응형
반응형





다른거 필요없이 이거 그대로 넣어주면 됨.

만약 컬럼수, 리스트뷰 아이템수가 늘어났는데도 스크롤바 생성이 안된다면

스크롤바를 만들어주고자 하는 리스트뷰 우클릭 -> 속성 -> Scrollable를 True로 지정해주면 됨


protected static ScrollBars GetVisibleScrollbars(ScrollableControl ctl)

        {

            if (ctl.HorizontalScroll.Visible)

                return ctl.VerticalScroll.Visible ? ScrollBars.Both : ScrollBars.Horizontal;

            else

                return ctl.VerticalScroll.Visible ? ScrollBars.Vertical : ScrollBars.None;

        }

        

반응형
반응형






블루스퀘어에서 런중인 '레베카'보고 왔다.


지금껏 봐왔던 뮤지컬중에 제일 호!!!!!!!

개인적으로는 오페라보다도 내 취향에 쏘옥!!이었던 것 같음.


뭐, 물론 계속 보고싶은데 못봤던거라서 더 맘에 들었을수도 있는데

보통 넘버들을 알고가는 상태에서 뮤지컬을 보면 좀 실망하기도 하는데


배우분들께서 너무 무대를 꽉 채우는 공연을 해주셔서 완전 만족했다.



cast.

송창의, 김선영, 루나, 최민철, 김나윤, 이정화 








후기들 보니까 송창의 불호 후기는 없더랑.

잘생긴 또라이 노선이라고 했는데 진짜

너무 잘생겨서 얼빠인 나는 얼굴에서 또 다시 만족을 느낌


눈과 귀를 모두 만족시켜주는 송막심...♥



댄버스 부인은 선영댄버스가 연기노선 제일 좋다길래 봤는데

와 진짜....

소름끼치고.

연기도 연기고, 노래도 노래고.

시원시원하게 쭉쭉 뽑아줘서 너무 좋았다.


영숙댄버스는 지금껏 레베카 초연부터 쭈욱 해왔던걸로 알아서

영숙댄버스 너무 보고싶었는데 일정이 안맞아서 좀 아쉬웠음ㅠ_ㅠ


그런데 그런 아쉬움을 깔끔히 날려주는 너무 최고의 공연이었댜



루나는 수줍어하는 연기도 너무 좋았고

극에서 막심과 이히(나)가 나이차가 좀 있어야하는데

송막심과 케미가 좋아서 넘 좋았음

어리고 귀염미 뿜뿜


진짜 너무 사랑스러웠다 ㅠㅠ



글고 나윤반호퍼는 코믹라인이라서 너무 좋았음



극 자체가 어둡고 무거운데 나윤반호퍼가 한번씩 통통 튀는 매력을 보여줘서

극이 전반적으로 더 살았던 것 같당

반응형

'소비 > 공연후기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[뮤지컬]바람과 함께 사라지다 후기  (0) 2018.06.11
[연극]오백에 삼십 후기  (0) 2018.04.12
[뮤지컬]닥터지바고 후기  (0) 2018.04.12
[뮤지컬]삼총사 후기  (0) 2018.04.12
[뮤지컬]레드북 후기  (0) 2018.04.12
반응형






고점에서 상투잡고

지금 여기가 바닥인가 바닥인가 하는데

계속 뚝뚝 떨어지네


중국발 악재떄문이겠는데

그냥 놔두면 오르겠지


어차피 우상향 그래프아닌가.


상향 중 하락세겠지하고 맘 편히 묵히는중.



원금의 30퍼가 순식간에 날아갔어ㅠ_ㅠ


소량만 나눠서 매수하면서 단타나 칠껄 그랬어



그래도 배운다고 생각하면서 하니까 재밌음

재밌는것은 오르리란 확신떄문이긴 하지만.

반응형

'아무말대잔치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달라진 이성관.  (0) 2021.01.26
사랑의 이유  (0) 2017.10.08
글을 올린게 없는데  (0) 2017.10.07
바로바로 업뎃해야지ㅠㅠ  (0) 2017.05.07
반응형






            System.Diagnostics.Process[] myProc = System.Diagnostics.Process.GetProcessesByName("exeFileName");


            if(myProc.Length > 1)

            {

                MessageBox.Show("이미 실행중입니다.");

                Application.Exit();

            }



반응형
반응형




★manifest 적용하기전에 실행파일 백업 必!!!!

(이미 생성 된 exe파일에 후처리 작업하는거라서 이걸 다시 열어서 수정하려고 하면 에러날 수도 있음)



cmd를 관리자 권한으로 실행


manifest를 적용하고자 하는 실행파일(ex. TEST.exe)이 있는 경로로 이동.


ex)

C:\WINDOWS\system32>cd C:\Users\rosis\Desktop\TEST

C:\Users\rosis\Desktop\TEST>notepad TEST.exe.manifest


--> 이거 입력하면 메모장뜸


<?xml version="1.0" encoding="UTF-8" standalone="yes"?>
 <assembly xmlns="urn:schemas-microsoft-com:asm.v1" manifestVersion="1.0">
   <assemblyIdentity version="1.0.0.0"
      processorArchitecture="X86"
      name="TEST.exe"
      type="win32"/>
   <description>Optional description of your application</description>

   <!-- Identify the application security requirements. -->
   <trustInfo xmlns="urn:schemas-microsoft-com:asm.v2">
     <security>
       <requestedPrivileges>
         <requestedExecutionLevel
           level="requireAdministrator"
           uiAccess="false"/>
         </requestedPrivileges>
        </security>
   </trustInfo>

 </assembly> 



  • asInvoker: 응용 프로그램을 시작한 프로세스와 동일한 권한으로 응용 프로그램이 실행됩니다. 관리자 권한으로 실행을 선택하면 응용 프로그램의 권한 수준을 높일 수 있습니다. - 일반권한

  • requireAdministrator: 응용 프로그램이 관리자 권한으로 실행됩니다. 응용 프로그램을 시작하는 사용자는 관리자 그룹의 멤버이어야 합니다. 응용 프로그램을 여는 프로세스가 관리자 권한으로 실행되고 있지 않은 경우 자격 증명을 입력하라는 메시지가 표시됩니다.

  • highestAvailable: 최대한 높은 권한 수준으로 응용 프로그램이 실행됩니다. 응용 프로그램을 시작하는 사용자가 관리자 그룹의 멤버이면 이 옵션은 requireAdministrator와 같습니다. 사용 가능한 가장 높은 권한 수준이 응용 프로그램을 여는 프로세스의 수준보다 높으면 자격 증명을 입력하라는 메시지가 표시됩니다. (비추천)



이제 저장하고. 메모장 종료.



다시 cmd창으로 돌아와서


C:\Users\rosis\Desktop\TEST>MT -manifest TEST.exe.manifest -outputresource:TEST.exe;#1


이거 입력하면


Microsoft (R) Manifest Tool version 5.2.3790.2075

Copyrigth (c) Microsoft Corporation 2005.

All rights reserved.


뜸.



아이콘 보면 방화벽모양의 방패모양이 끝에 붙어있음.


관리자권한으로 실행되도록 manifest적용 된 것임.




끝.



총정리.

ex)

cmd에서 입력해줘야 하는 부분

C:\WINDOWS\system32>cd C:\Users\rosis\Desktop\TEST


C:\Users\rosis\Desktop\TEST>notepad TEST.exe.manifest


C:\Users\rosis\Desktop\TEST>MT -manifest TEST.exe.manifest -outputresource:TEST.exe;#1

Microsoft (R) Manifest Tool version 5.2.3790.2075

Copyrigth (c) Microsoft Corporation 2005.

All rights reserved.







반응형

+ Recent posts